여행일: 2013. 2. 17.
위 치: 충남 홍성군 홍북면 노은리
○ 최영 장군과 성삼문 선생은 약 100년 시차로 충남 홍성군 홍북면 노은리라는 같은 마을에서 태어났다고 합니다.
○ 다만, 최영 장군의 출생지에 대하여는 충남 홍성 말고도 다른 지역에서도 출생지를 주장하는 곳이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홍주 목사를 지냈던 지봉 이수광(1563~1628)의 '지봉집' 권13에 의하면, 최영 장군은 홍양(홍성의 옛 이름인 홍주의 별명)에서 출생하였고, 그 곳에 최영 장군의 사당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조선 시대 문신이며 좌의정을 지낸 이이명(1658~1722)의 '소재집' 중 [최 장군 유허비(崔將軍 遺墟碑)]의 내용에 의하면, 최영 장군은 홍주 적동(洪州赤洞, 현 홍성군 홍북면 노은리) 사람이라고 세상에 전해지고 있고, 홍주의 삼봉산 가운데 중봉에 최영 장군의 사당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또한, 1924. 4. 1.에 발행된 잡지 ‘개벽’ 제46호에 의하면, 최영 장군과 성삼문 선생이 홍주 적동(洪州赤洞)에서 태어났다고 되어 있는 등이 최영 장군의 출생지가 홍성임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성삼문 선생 유허와 최영 장군의 사당을 둘러보기로 하였습니다. 소개 순서는, 성승(성삼문 선생의 아버지) 장군 부부 묘 - 성삼문 선생의 부인 묘 - 엄찬(성삼문 선생의 외손) 고택 - 성삼문 선생 유허비 - 충문사(성삼문 선생이 태어난 집터) - 노은단 - 기봉사(최영 장군 사당)입니다.
성승 장군 부부 묘
성삼문 선생의 부인 묘
최영 장군과 성삼문 선생이 태어난 '노은리'
엄찬(성삼문 선생의 외손) 고택
노은단, 유허비, 충문사
비문은 우암 송시열이 지었다고 되어 있네요.
유허비
성 선생 유허비
충문사(성삼문 선생이 태어난 집터)
노은단
저 산 중턱에 최영 장군의 사당인 '기봉사'가 있어요.
기봉사
기봉사
사당 내부
최영 장군 영정
감사합니다.
'충남 홍성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도'(충남 홍성)를 살펴 보다. (0) | 2014.02.05 |
---|---|
그림이 있는 정원 (0) | 2013.04.27 |
'그림이 있는 정원' (수목원) (0) | 2012.05.13 |
궁리항의 해질녘 풍경 (0) | 2012.04.23 |
만해 한용운 선생 생가지 (0) | 2012.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