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일: 2017. 12. 3.

위   치: 충남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

 

 

 

 

 

 

 

 

 

 

 

매헌 윤봉길 의사의 유묵(遺墨, 죽은 사람이 생전에 남긴 글씨나 그림)과 유품은 보물 제568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윤봉길 의사가 사용하던 유묵과 유품

 

 

 

 

 

 

 

 

 

 

 

 

 

윤봉길 의사가 지은 한시를 모아 묶은 한시집

 

 

 

윤봉길 의사 친필 예문집

 

 

 

윤봉길 의사가 지은 한시를 모아 묶은 한시집

 

 

 

윤봉길 의사가 지은 한시를 모아 묶은 한시집

 

 

 

 

 

 

 

 

 

 

 

농민독본은 윤봉길 의사가 1927년 야학용 교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편저한 책으로 모두 3권이었다고 합니다.

 

 

 

기사년일기

 

 

 

이 일기는 윤 의사가 21살 때 쓴 것이라고 하는군요.

 

 

 

 

 

 

 

윤봉길 의사가 부모의 상사(喪事) 등을 위하여 조직한 위친계의 취지서

 

 

 

1929년 윤봉길 의사가 농촌 진흥 운동의 전개를 위해 조직한 월진회 창립 취지서

 

 

 

월진회 통장

 

 

 

 

 

'장부출가생불환'은 망명을 결심한 윤봉길 의사가 집을 떠나기 전에 쓴 글씨라고 합니다.

 

 

 

 

 

1932년 1월 30일 윤봉길 의사가 어머니에게 상하이에서 있었던 전쟁의 비참한 내용을 전한 편지

 

 

 

1931년 9월 상하이에서 동생 남의(南儀)에게 보낸 편지

 

 

 

1930년 6월 칭다오에서 아들 종(琮)에게 보낸 편지

 

 

 

 

 

상하이 홍커우 공원 의거 2일전(1932. 4. 27.) 백범 김구에게 남긴 의사의 이력서

 

 

 

이력서 내용 일부

 

 

 

 

 

 

 

 

 

 

 

 

 

 

 

위 글은 윤봉길 의사가 홍커우 공원 의거 이틀 전인 1932월 4월 25일 의거 장소를 답사한 후 두 아들에게 유언으로 남긴 시라고 합니다. 이 글에서 강보(襁褓)란 엄마가 아기를 업는데 사용하는 '포대기'를 말합니다.

 

 

 

 

 

 

 

 

 

 

 

윤봉길 의사가 홍커우 공원에서 사용한 폭탄(모형)

 

 

 

 

 

 

 

 

 

 

 

 

 

 

 

 

 

 

 

 

 

 

 

 

 

 

 

 

 

 

 

 

 

 

 

장제스(蔣介石) 친필 서한

 

 

 

 

 

 

 

 

 

 

 

 

 

 

 

장제스(蔣介石) 친필과 사진

 

 

 

 

 

장제스(蔣介石)서한과 기념 사진

 

 

 

 

 

충의사

 

 

 

 

 

 

 

 

 

 

 

감사합니다.

 

 

 

 

 

 

'충남 예산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한종 의사 생가지  (0) 2018.04.22
화순옹주 홍문  (0) 2017.12.16
"의좋은 형제 이야기"의 실제 인물  (0) 2017.10.14
아계 이산해 묘  (0) 2017.10.03
예산성당  (0) 2017.08.15

+ Recent posts